top of page
  • gimm45226

다이아몬드를 해부한다! - 물리적 특성



우리가 알고 있는 보석의 여왕, 다이아몬드를 해부한다.

이것이 어떤 성분과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면 다이아몬드가 왜 보석으로 인정받는지 바로 이해가 된다.


오랜 세월을 거쳐 자연이 만든 결정체~!

구하기 힘들고 잘 긁히지 않으며 수 십억 년 이후에도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 지구 태초에서 찾아와 영원히 빛남을 상징하는 다이아몬드는 그래서 진정한 보석이 아닐 수 없다.


● 성분: 탄소

● 결정계: 입방체 (분류: 6-팔면체/ 六-八面體)

● 비중: 3.52

● 경도: 10 모스

● 외관: 무색부터 노란색까지 또는 다양한 다른 색상

● 굴절률: 2.41

● 열전도율: 2,200 W/(m·K) (은의 5배)



The chemical structure of diamond
다이아몬드와 흑연의 화학적 구조 차이


The hardness of diamond
Vickers와 Mohs의 다이아몬드의 경도 비교

모스 경도에 의하면 다이아몬드는 10모스로서 모스 경도 9의 커랜덤(사파이어계)에 비해서 숫자적으로 1경도 차이가 나지만, Vickers경도에 의하면 표에서 본 바와 같이 급격한 차이를 보인다. 그만큼 다이아몬드의 경도는 타 물질에 비해서 매우 높다.



다이아몬드의 기본 성질은 친유성(親油性)과 소수성(疏水性)이다.

소수성으로 인해 다이아몬드 표면이 물에 젖을 수 없지만, 친유성 때문에 기름에 쉽게 젖고 잘 달라붙는다.


친유성(親油性) / 소수성(疏水性)

친유성, 소수성 같은 성질로 인해 합성 다이아몬드를 만들 때 기름을 사용하여 다이아몬드를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표면이 특정 이온으로 화학적으로 변형되면 매우 친수성(親水性)으로

변하여 사람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여러 층의 수분 얼음층을 표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이아몬드 생성을 위한 압력 조건

다이아몬드가 생성되기 위한 압력은 8㎬(기가파스칼)인데,

8㎬이 갖는 압력은 음료수 캔 크기의 단면적을 파리 에펠 탑 무게(약 7,000톤)로 누르는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런 압력을 상상해보면, 다이아몬드가 얼마나 어렵게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있다.





조회수 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